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06-30 12:53
Today
Total
관리 메뉴

삶 가운데 남긴 기록 AACII.TISTORY.COM

주요 ETF 정보 정리와 투자 전략 본문

STUDY/Capitalism

주요 ETF 정보 정리와 투자 전략

ALEPH.GEM 2024. 6. 3. 08:08

 

투자는 개인의 선택이며 이 글은 상품의 소개일 뿐 투자 결과에 대해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전문 투자자가 아닌 평범한 사람들은 간접 투자 형태인 펀드, ETF (거래가능한 펀드)에 투자하게 됩니다.

그래서 준비했습니다.

2024년 주요 ETF 정보들을요.

 

국내에서 운용하는 해외 자산 ETF 상품은 연금저축계좌에서 투자하면 세금 혜택 때문에 유리합니다.

TIGER, KODEX, SOL, ACE, KBSTAR, ARIRANG 등이 붙은 것들이 이에 해당합니다.

다만, 연금 저축 계좌에서 국내 주식을 사는 것은 비추천합니다.

왜냐하면 매매 시 원래 비과세라서 세금 혜택이 있는 연금 저축 계좌 보다 일반 주식 계좌를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배당 성장형 ETF

배당주들은 보통 주가가 떨어지거나 횡보하기 마련입니다.
배당 성장형 ETF들은 미국 배당이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기업에 투자합니다.
그래서 주가와 배당 밸런스가 갖춰져서 주가와 배당 모두 성장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성장형 ETF인 SPY, QQQ, VTI에 비해 높은 배당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주가 상승은 QQQ에 비할바가 못됩니다만, 대신 거품이 잘 끼지 않는 특징이 있습니다. 
배당으로 인해 현금 흐름이 있고 장기 투자에 유리하기 때문에 노후 준비에 좋습니다.
따라서 연금 저축 계좌
를 이용하는 것이 좋겠죠. 
  •  SCHD(슈드) : 다우존스 S&P500을 추종하는 해외 ETF, 분기 지급
  • TIGER 미국배당 다우존스 :  국내판 SCHD. 국내 매국 배당 ETF 상품 중에서 자산 규모가 가장 큰 축에 속합니다. 
  • VIG: 뱅가드에서 운용 중인 배당 성장형 ETF로 S&P500을 추종하며 자산 규모가 가장 큰 축에 속합니다.
  • TIGER 미국 S&P500 배당귀족 : 25년 이상 배당을 늘려온 업체를 모은 ETF입니다. 배당률은 높지만 주가 상승률은 낮습니다.
  • SOL 미국배당다우존스:  미국 주식 배당 성장 상품, 월배당.
  • ACE 미국배당다우존스:  미국 주식 배당 성장 상품

 

 

커버드콜 ETF

기초 자산으로 주식을 매수하면서 콜 옵션을 매도하는 투자 전략의 ETF입니다.
콜 옵션을 매도 하기에 주가 하락기에는 배당으로 손실을 조금 방어하지만, 주가 상승기엔 수익이 제한됩니다. 
그래서 변동성이 적은 주가 박스권(횡보장)이 길게 유지될 때 유리합니다.
횡보가 긴 코스피 같은 자산이 커버드콜 전략에 적합하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매도한 콜옵션 수익도 배당에 포함하기 때문에 배당이 높지만, 매도한 만큼 주가(자산가치)는 감소할 확률이 높아집니다. 
성장주가 과열되어 불안할 때 성장주를 매각하여 자금을 묻어두는 용도로 사용하면 좋습니다.
선물 거래(콜옵션)임에도 불구하고 연금 계좌에서 매매가 가능한 상품들이 있습니다.
  • JEPI : JP모건 S&P500 지수를 추종 + 커버드 콜 매도
  • JEPQ : JP모건 나스닥100 + 파생상품+ 커버드콜 매도, 월지급
  • QYLD :  나스닥 100을 추종 + 커버드 콜 매도, 월지급
  • TLTW : 미국 장기 국채 + 커버드 콜 매도
  • XYLD : S&P500 추종 + 커버드 콜 매도
  • TIGER 미국배당+7% 프리미엄다우존스: SCHD 60% + XYLD 40% 배당 성장주와 고배당 커버드콜을 합성해서 배당과 자산 증가를 동시에 노리는 전략
  • TIGER 미국배당+3% 프리미엄다우존스: SCHD 85% + XYLD 15% 배당 성장주와 고배당 커버드콜을 합성해서 배당과 자산 증가를 동시에 노리는 전략
  • TIGER 미국나스닥 100 커버드콜(합성): QYLD의 한국 버전. 월지급
  • TIGER 200 커버드콜 ATM: 월지급. 코스피를 추종하는 상품입니다. 주가가 약간 하락 시 유리합니다.
  • TIGER 200 커버드콜 5% OTM: 월지급. 코스피를 추종하는 상품입니다. 주가가 완만한 우상향시 유리합니다.
  • KBSTAR200 고배당 커버드콜 ATM: 월지급
  • KODEX 미국배당프리미엄액티브: 고배당 커버드 콜, 월지급

 

 

성장 중심 ETF

주가를 추종하기 때문에 주가가 오르면 상당한 수익이 기대되지만 내려가면 손실이 크게 날 수 있습니다.
S&P500이나 나스닥 지수를 따라가기 때문에 거품과 폭락 때 리스크가 있지만 장기적으로 우상향 하므로 장기 투자에 유리합니다.
젊은 나이일수록 성장주를 꾸준히 모아간다면 장기적인 자산가치(주가) 상승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주가가 올랐다는 것은 분모가 줄어들어 배당 수익률은 줄어들었다는 의미입니다.
성장의 확신이 있는 기업에 투자하는게 베스트지만, 그렇지 않다면 성장주도 분산투자할 수 있는 ETF가 무난하죠.
  • IVV : S&P500 추종. 미국인덱스펀드중에서 보수율이 낮고 배당률이 높은것이 특징. 
  • VOO : S&P500 추종
  • SPLG : S&P500 추종. 단가가 저렴해서 소액으로 모을 수 있는 장점
  • SPY : S&P500 을 추종하는 가장 큰 큐모의 인덱스 펀드
  • QQQ : 나스닥 100 추종
  • QQQM : 나스닥 1000이라 보다 넓게 분산 투자 되어 있고 보수가 QQQ보다 저렴하고 자산규모가 작습니다.
  • TIGER 미국 나스닥 100: 규모가 큰 미래에셋 운용사의 상품, (TR) 상품은 자동 재투자 상품이며 (H) 해지 상품은 고환율에 유리합니다.
  • TIGER 미국다우존스 30: 월지급식
  • KBSTAR나스닥 100: 보수가 저렴한 국내용 상품
  • KBSTAR미국 S&P500(H) 
  • KBSTAR미국캐시카우 100 
  • SOL미국 S&P500: 월배당 
  • WOORI200: 코스피를 추종

 

 

 

 

고배당 ETF

은퇴 이후 현금 흐름이 필요할 때, 배당을 잘 주는 월지급식 ETF가 유리할 수 있습니다.
다만, 주가 성장은 기대하기 어려워서 총 자산 규모는 장기적으로 줄어들 수 있어 고배당의 함정이라고 부릅니다.
배당이 높은 기업은 성장이 끝난 기업들이 보통이기 때문에 배당도 주가도 내려갈 확률이 높습니다.
다만 주가가 하락한다는 이야기는 1주당 배당 수익률은 올라랍니다. 
너무 높은 배당 6% 이상 기업들은 성장이 정체되었거나 주가가 하락할 문제가 있는 기업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 DIV : 고배당
  • SPHD: 고배당, 월배당, 저변동이 특징
  • VYM: 규모가 큰 뱅가드의 고배당 상품
  • TIGER 미국 S&P500 배당귀족: 월지급 
  • KBSTAR미국 S&P500 배당킹

 

 

 

채권형 ETF

채권은 정해진 금리(이자율)가 있기 때문에 안전 자산으로 분류됩니다.
다만 장기 국채는 변동성이 심하기 때문에 안전자산 성격이 아니게 됩니다.
국채 가격과 국채 수익률은 반대로 갑니다. 
왜냐하면 채권 가격이 떨어지면 더 적은 돈으로 채권을 사서 정해진 이자를 받을 수 있기 때문에 분모가 출어서 수익률이 올라가고 채권 가격이 올라가면 이자가 고정되어 있으므로 수익률이 떨어집니다.

2년 만기 국채(중기)는 정책 금리와 연동됩니다.
10년 만기 국채(중기)는 장기 금리 가이드라인 역할을 합니다.
일반적으로 장기로 갈수록 채권 금리(이자)가 크지만 장단기 채권 금리가 역전되는 현상이 경기 침체의 신호로 여겨지고 있습니다.
  • SPDR : 블룸버그 1~3개월 미국 단기 국채 ETF
  • SHV : 아이셰어스 숏 트레저리 본드 ETF, 미국 1년 미만 단기 국채
  • SHY : 아이셰어스 1~3년 미국 중기 국채
  • IEF : 아이셰어스 7~10년 미국 중기 국채
  • TLT : 미국 20년이상 초장기 국채 가격 상승(수익률 하락)에 베팅. 국채 가격 상승이 예상되면 유리합니다.
  • TBF: TLT와 정반대 즉 미국 장기 국채 가격 하락(수익률 상승)에 베팅. 미국 대선 후 재정 지출이 늘면 국채 가격이 하락 경향이 있으므로 TBF가 유리해집니다. 
  • BNDX: 뱅가드 세계(선진국) 채권 ETF
  • AGG: 아이셰어스 미국 채권 ETF
  • TIGER미국달러단기채권액티브 : 환율이 상승할 때 좋습니다. 주식, 채권 동시 하락시장에서 방어수단, 채권 금리 4% 이상 유리합니다.
  • ACE 미국하이일드액티브(H)
  • KBSTAR 중기우량회사채: 월지급
  • KBSTAR 금융채액티브: 월지급

 

 

 

리츠, 인프라형 ETF

부동산에 임대 수익을 투자하는 상품을 리츠(부동산), 인프라에 투자 하면 인프라형 ETF라고 합니다.
부동산은 대출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고금리 시대에는 불리하지만 저금리 시대에는 안정적인 수익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다만 리츠를 계륵이라고 부르는 게 자산의 안정성 측면에서 적금, 채권 등 리츠보다 더 우수한 자산들이 있고 배당도 리츠보다 평균적으로 높은 ETF들도 있고 자산 가격의 성장세에도 리츠는 미치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팬데믹 시기 수익형 부동산이 매우 안 좋았지만 그래도 리츠는 안정적인 수익과 관리를 안해도 되는 부동산 투자라는 것은 장점이라고 하겠습니다.
고배당 상품에 투자할 때 분산 투자로 매력이 있으므로, 금리가 높아 부동산 경기가 안좋아서 가격이 내려갈 때 사두면 좋겠죠. 
  • REALTY INCOME : 미국, 유럽의 필수 상가(월마트 등)에 입점한 부동산들의 임대 수익 배당
  • MLPA : 인프라형 ETF
  • MORT : 리츠형 ETF
  • KODEX TSE 일본리츠(H) : 월지급. (H)가 붙은 해지 상품은 환율 연동이라 환율의 영향을 잘 안 받습니다.
  • KODEX 미국다우존스리츠(H): 월지급
  • TIGER 미국 MSCI리츠(합성 H): 월지급
  • TIGER 리츠 부동산 인프라: 월지급
  • TIGER 리츠 부동산 인프라 채권 TR KIS: 월지급

 

 

자원(금, 원유, 원자재) 투자형 ETF

인플레이션 방어용 대표적인 안전 자산 투자 상품들입니다.
금 현물은 세금이 비싸기 때문에 투자를 위해서라면, 매매시 세금이 없는 KRX 금 현물 시장을 이용하는 것이 효율적입니다.
각국 중앙은행이 금 매수세에 있으면 시세가 오릅니다.
미국 부채 급증으로 미 국채 신뢰도가 낮아지면 금 시세가 오릅니다.
미국 달러가 약세일 때 시세가 오릅니다.

 

  • GLD : SPDR골드 셰어스 금현물 ETF
  • IAU : 아이셰어스 골드 트러스트 금현물
  • AAAU : 골드만삭스 피지컬 골드 금현물
  • ACE KRX : 금현물
  • KODEX 골드선물(H) : 환헤지 금선물
  • KODEX WTI원유선물(H)
  • TIGER 골드선물(H) : 환헤지 금선물
  • TIGER 금은선물(H) : 환헤지 금은선물
  • DBC : 원자재 지수

 

 

 

 

자산 배분형 ETF

다양한 자산에 분산 투자하는 상품입니다.
  • TIGER글로벌멀티에셋 TIF액티브: 월지급식 상품.

 

 

 

 

투자 전략

배당 + 성장 + 방어자산 전략
보통 성장주가 강세면 배당주는 약세이고 성장주가 약세면 배당주는 강세입니다.

1. 그래서 평소 배당주와 성장주의 대표 ETF인 SCHD와 QQQ를 병행 투자합니다.
2. 하지만 둘 다 공격적인 투자 상품이기 때문에 주식이 과열될 때는 일부 매각하여 수익을 실현해 위험 회피를 위해 금+채권+원자재+원유+현금 등  방어 자산의 비중을 늘리립니다. 
3. 반대로 주가가 폭락중일 때는 방어자산을 팔아 성장주들을 매입합니다. 

위험 회피를 위한 대표적인 시그널은 다음과 같습니다.
1.  S&P500 배당 수익률이 1.6% 미만으로 낮아질 때 
2. 장단기 금리차가 역전될 때
3. 주가가 과열 양상일 때
4. 미국 실업률

 

환율 상황에 따른 반반 전략
이  전략은 한국 주식과 미국 달러는 반대로 가는 현상을 이용한 전략입니다.
국민 연금 공단의 전략을 간략화 한 것이죠.

1. 평소: 국내 주식 50%, 미국 자산(국채 or주식) 50% 비중으로 모읍니다. 
2. 한국에 경제 위기가 와서 환율이 급등하면(예: 1달러당 1300원 이상) 미국 자산을 팔아서 원화를 확보합니다. 이때 한국 주식은 폭락 중이기 때문에 확보한 원화로 국내 ETF나 우량 주식을 싸게 줍줍 합니다.
3. 반대로 환율이 내려가면 달러가 싸지기 때문에 미국 자산 비중을 증가시켜 저렴한 가격에 미국 자산을 매입합니다.

환율에 신경쓰고 싶지 않을 때의 전략
ETF중 (H)가 붙은 해지 상품은 환율이 연동되어 환율이 오를 때 유리하므로 일반 상품과 해지 상품을 조합하면 됩니다. 
예를들어,  배당 성장형 ETF인 SOL미국배당다우존스(H) 해지 상품과 TIGER미국배당다우존스를 50:50으로 투자하는 것입니다.

 

금리와 채권 가격은 반대로 갑니다.

낮은 금리에는 싸게 자금을 조달되어 성장주, 기술주가  각광을 받습니다. 
높은 금리에는 빌린 자금이 부담되며 경기가 회복되므로 전통 산업주가 호황이됩니다.

 

탈무드 전략
국내 자산이 불어나서 세금 부담이 생기기 시작하면 미국 리츠에 투자하는 전략입니다.
부동산 수익으로 배당이 나오기 때문에 은퇴 후 현금 흐름을 발생시키기 위함입니다.

 

QYLG 전략: QQQ + QYLD
QQQ로 자산 성장을 노리고 QYLD의 커버드콜 배당주로 현금 흐름과 방어를 동시에 노리는 전략입니다. 

 

XYLG 전략 : SPY + XYLD
마찬가지로 S&P500 지수인 SPY로 자산 성장을 노리면서 XYLD의 커버드콜 배당주로 현금 흐름과 방어를 동시에 노리는 전략입니다.

 

 

 

 

 

 

 

 

 

 

 

 

 

 

 

 

728x90

'STUDY > Capitalism'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저평가 주식 고르기  (1) 2024.01.15
주식, ETF 매매주문 방법의 종류  (3) 2024.01.07
Nudge 넛지  (0) 2023.12.30
스토리 마케팅 이야기가 주는 힘  (0) 2023.12.30
반도체 사이클 알아내는 방법  (0) 2023.12.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