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PuTTY (3)
삶 가운데 남긴 기록 AACII.TISTORY.COM

putty로 리눅스에 접속했을 때 한글이 깨져서 나올 때가 있습니다. 그럴 때 아래와 같이 설정을 바꿔보십시오. 창 > 변환 탭 수신한 데이터를 이 문자셋으로 가정 항목이 있습니다. 이 항목을 수정해보면 됩니다. 대개 CP949(윈도우)으로 되어있는 것이 기본 값일 텐데, 리눅스 서버의 한글 인코딩과 맞춰주면 됩니다.(예:UTF-8) 덤으로 폰트는 창> 모양에서 변경할 수 있습니다.

PuTTY를 이용해 리눅스(centos)에 SSH 접속할 때 윈도우 컴퓨터에 개인키를 저장해두고 리눅스 서버에 공개키를 저장해서 패스워드 입력 없이 접속하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이 방법은 개인키를 유출되지만 않는다면 아이디 패스워드 로그인 방법보다 보안적으로 안전합니다. 그래서 개인키는 로컬 PC에 저장하되 공용 PC에는 저장하면 안됩니다. PuTTY 와 PuTTYgen 다운로드 링크: http://www.chiark.greenend.org.uk/~sgtatham/putty/download.html 1. 다운 받은 PuTTYgen 를 실행하고 Generate 버튼을 누릅니다. 마우스를 포인터를 빈칸에서 움직이면 RSA키 쌍이 생성됩니다. 안 움직이면 진행이 안됩니다. 난수를 생성하기 위한 작업입니다. 2..

putty로 접속시 expected key exchange group packet from server 라는 메시지와 함께 접속이 되지 않을 때 1. 서버 목록에서 접속할 서버를 불러옵니다. 2. 좌측 메뉴중에서 접속(connection) - SSH - 키교환(kex) 3. 우측 Algorithm selection policy 항목의 up 버튼이나 down 버튼을 눌러서 디피-헬만 그룹 14(Diffie-Hellman group)을 맨위로 디피-헬만 그룹1을 두번째로 설정해야 합니다. 즉, Diffe-Hellman group exchange 를 3번째로 옮겨 놓은 뒤 저장하시고 접속하시면 됩니다. 아니면 putty 최신 버전을 설치해 보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