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PORT (2)
삶 가운데 남긴 기록 AACII.TISTORY.COM
CATALINA_HOME과 CATALINA_BASE를 분리 Tomcat 하나에서 여러 web application 을 context root를 분리해서 구동시킬 수 있습니다. 그런데 $CATALINA_HOME과 $CATALINA_BASE를 분리해서 하나의 Tomcat으로 여러개의 인스턴스를 각각 다른 포트 번호로 구동할 수도 있습니다. 여러 인스턴스로 구동하게 되면 각각의 구동 환경을 분리해서 webapp을 구동시킬 수 있습니다. 이렇게 하면 tomcat을 업데이트 할 때 인스턴스는 그대로 두고 tomcat만 교체하면 되기 때문에 편리합니다. server.xml 파일 하나에 여러 호스트 정보를 등록해서 관리 할 수도 있는데 이런 경우 Tomcat 재구동시 모든 서비스들이 재시작되므로 추천하지 않습니다. ..
gitlab 설치 시에 기본 port가 8080 입니다. 그런데 8080은 흔히 WAS에서 사용하는 포트기 때문에 보통 gitlab의 포트를 8080 포트가 아닌 다른 포트로 변경해서 설치합니다. (external_url 설정으로...) 그런데 gitlab을 구동했을 때 8080 포트가 사용중인 경우가 있습니다. 깃랩 서비스가 시작된 후 사용 중인 포트를 조사해보면 sudo netstat -nltp puma가 8080 포트를 점유중인것을 알 수 있습니다. puma 구글에서 검색해보면 unicorn 설정이 많이 나오지만 gitlab 14.0 부터는 unicorn 의 지원을 제외한다고 합니다. 그런데 puma 가 8080 포트를 기본 값으로 사용하고 있어서 tomcat같은 was를 사용할 때 8080 포트가..